2021년 문화재돌봄사업(17개 시·도, 23개 사업단) 관리대상 문화재 8,665개소 문화재돌봄지원사업 전담기관 설치(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부설 중앙문화재돌봄센터) 문화재돌봄사업 법정사업 시행(6.10) 문화재돌봄의 날(6.10) 제정 및 기념일 선포식 문화재수리기능자 자격 취득(129명) |
2020년 문화재돌봄사업(17개 시·도, 23개 사업단) 관리대상 문화재 8,126개소 문화재돌봄지원사업 수행기관 변경(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) 문화재돌봄사업 법제화(6.9. 문화재보호법 개정 공포) 문화재돌봄사업 10주년 기념사업(기념식, 백서 발간, 서체 개발, 슬로건 제정) 문화재수리기능자 자격 취득(131명) |
2019년
문화재돌봄사업(17개 시·도, 23개 사업단) 관리대상 문화재 7,587개소 문화재수리기능자 자격 취득(96명) |
2018년 문화재돌봄사업(17개 시·도, 21개 사업단) 관리대상 문화재 7,048개소(국가민속문화재 관리대상 추가) 문화재수리기능자 자격 취득(68명) 돌봄사업 직무교육 확대 |
2017년 문화재돌봄사업(18개 사업단) 관리대상 문화재 6,561개소(국가민속문화재 관리대상 추가) 포함 11.15 지진피해 복구 참여 문화재수리기능자 자격 취득(64명) 문화재돌봄지원사업 시행(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) |
2016년 문화재돌봄사업(15개 사업단) 관리대상 문화재 6,008개소 경주 9.12 지진피해 복구 참여(연 인원 2,000여 명) 돌봄 직무교육 시작(경주,나주) 및 문화재수리기능자 자격 취득(63명) |
2015년 문화재돌봄사업(14개 사업단) 관리대상 문화재 5,826개소 문화재돌봄사업 문화유산 현장관리자과정 프로그램 개발 |
2014년 문화재돌봄사업(14개 사업단) 관리대상 문화재 5,518개소(시도지정문화재 관리대상 추가) 사)한국문화재돌봄협회 설립 |
2013년 문화재돌봄사업으로 사업명칭 변경 문화재 특별관리사업 통합 및 전국 확대(17개 시도, 13개 사업단) 관리대상 문화재 2,063개소 |
2012년 문화재 상시관리 활동 지원사업(11개 사업단) 관리대상 문화재 1,675개소 |
2011년 문화재 상시관리 활동 지원사업(8개 사업단) 관리대상 문화재 1,675개소 |
2010년 5개광역시·도에 문화재 상시관리 및 활용 사업 시범 실시 관리대상 문화재 691개소(국가지정문화재, 일부 비지정문화재) |
2009년 6월 문화재보호기금법 제정 |